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시 장 줄리앙: 그러면, 거기 @동대문 DDP

by 트렌드요정, 라나 2022. 11. 30.

장 줄리앙 전시

1. 전시 안내

동대문 DDP에서 열리는 장 줄리앙 전시가 10월 1일부터 1월 8일까지 열립니다. 휴관일 없이 공휴일 모두 운영을 합니다. 뮤지엄 배움터 지하 2층 전시 1관인 디자인전시관에서 전시를 진행하고 있고 10시에서 20시까지 관람 가능합니다. 관람이 끝나기 전인 19시에 입장 마감을 하니, 염두에 두어 방문하면 좋습니다. 티켓은 성인 2만 원, 청소년 만 5천 원, 어린이 만 3천 원, 특별권 8천 원입니다. H.포인트 앱으로는 30%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동대문 DDP 멤버십 가입이나 서울디자인 2022 표가 있다면 50% 할인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1번 출구로 나오면 전시관 방문이 가능하며, 주차는 당일 티켓 포함 전시와 관련된 상품(아트샵) 영수증을DDP내 구매 영수증 합산 2만 원 이상 시 1시간 무료이고, 5만 원 이상 구매 시 2시간 무료입니다. 추가 5분당 400원, 1일 최대 5만 원입니다. 오디오 가이드는 전시 공간별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H.포인트 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하면 됩니다. 오디오 가이드는 무료입니다.

 

2. 전시 내용

이번 전시는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그래픽 아티스트인 장 줄리앙의 첫 번째 회고전으로 회화와 스케치북뿐만 아니라 조각과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최초 대규모 전시이고 회화 작품은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사진 촬영이 가능해서 가족 단위의 관람객이 방문하기에도 좋습니다. 단순하고 컬러풀한 작가의 예술 세계는 아이들에게도 인기 만점입니다. 유쾌한 이미지들을 이용해 역동적인 사진들도 찍을 수 있습니다. 이번 동대문 전시에는 그의 최신작 회화와 조각 또한 최초 공개합니다. DDP에 작가가 직접 방문하여 남겨둔 그의 흔적을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입장 관련 주의 사항을 한글과 함께 그려놨으니 벽의 메모들도 주의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2주 동안 전시장에서 드로잉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는 3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전시된 엄청난 양의 습작들은 2008년에서 2022년 현재까지 작가의 드로잉 스타일 변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단순한 드로잉이 어떤 작품으로 최종 마감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초로 세상에 공개되는 100권의 스케치북의 초반 아이디어 드로잉을 포함하여 여러 매체를 활용한 작품의 발전 과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대중성이 높은 작가로 상품화된 아트웍이 많습니다. DDP 외부에 2개의 설치 작품 OTTO(오또)와 FUSION(퓨전)이 있습니다. 아트샵에서는 작가의 친필 서명과 에디션 번호가 적혀있는 한정판 판화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3. 작가 소개: 장 줄리앙

프랑스 낭트 출신의 장 줄리앙은 현재 파리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그래픽 아티스트입니다. 학생 시절부터 실험을 좋아하고, 시도하기를 반복했었기 때문에, 현재는 분야를 넘나드는 아티스트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모든 기호와 상징은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신념 아래 공감하기 쉽고, 간결하고 직관적인 작품을 만듭니다. 일러스트와 사진 분야와 패션, 설치 작품, 도서, 스케이드 보드까지 종류와 매체를 넘어서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연필을 잡고 사용할 수 있는 순간부터 드로잉을 했다고 알려진 장 줄리앙은 항상 작은 스케치북을 가지고 다니며, 일상에서 아이디어와 영감을 얻어낸다고 합니다. 학창 시절 일기 쓰기 숙제에 그림을 그려냈던 장 줄리앙에게 선생님은 어떤 방식으로 일기를 써도 좋다고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고 합니다. 일기장처럼 모아둔 아이디어 드로잉과 습작으로부터 발전된 독창적이고 위트 있는 작품들은 현대인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과 사회적 이슈를 다룹니다. 대중적이며 핫한 작품 세계로 다양한 언론사와 브랜드의 러브콜을 받고 있습니다. 동생인 니코 줄리앙과 협업하면서 설치 등의 작업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학생 시절에 했었던 번뜩이는 아이디어의 실험을 놀이처럼 즐기고 있습니다. 귀여운 이미지와 재치로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그의 작품에는 따듯함이 있기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